수능 영어 시간 배분을 어떻게 해야 그동안 쌓은 실력을 모두 발휘할 수 있을까요? 수능 영어는 시간 싸움이기 때문에, 똑같은 실력이라도 전략에 따라 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어요. 오늘은 수능 영어 시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 후, 수능 영어 시간 배분 전략과 마무리 노하우를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수능 영어 시간
수능 영어는 듣기 17문항, 읽기 28문항으로, 70분 안에 모든 문제를 풀고 마킹까지 마쳐야 해요. 한 문항당 약 1분 30초의 시간이 주어집니다.
• 날짜: 2025년 11월 13일(목)
• 시간: 1시 10분 ~ 2시 20분(70분)
• 듣기: 약 20분
• 읽기: 약 50분
❚ 수능 영어 시간 배분이 중요한 이유
열심히 공부해서 독해력이 좋아졌더라도, 시간 배분을 제대로 못하면 실전에서 그 실력을 다 발휘할 수 없어요. 특히 빈칸 추론, 순서 배열, 장문 독해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들이 후반부에 몰려 있는데, 시간 부족으로 이런 문제들을 못 풀거나 대충 찍게 되면 노력 대비 점수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원하는 점수에 도달하려면 노력 + 전략적인 시간 관리가 함께 가야 해요.
❚ 수능 영어 시간 배분 전략 5가지
수능 영어 시간 배분은 듣기 + 읽기 + 마킹을 어떤 식으로 할 지 미리 계획한 후, 모의고사로 실전 연습을 여러 번 해봐야 해요. 나에게 가장 맞는 방법을 찾고, 그 방법으로 수능 전까지 연습하며 시간 감각을 몸에 익혀요.
1. 듣기 시간 활용
듣기 파트는 시험장 음성에 맞춰 풀어야 하니 조정이 어려워요. 대신, 듣기 사이사이에 남는 짧은 시간을 활용하는 게 전략의 시작이에요. 이 시간에는 다음 문제의 질문과 보기를 미리 읽어두는 습관을 들이세요. 중요한 키워드에 밑줄을 그어놓는 것도 좋아요.
TIP
상위권이라면 듣기 간격을 활용해 어법 문제나 마지막 세트 문제(43~45번)를 미리 공략해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듣기 정답률이 100%가 아니라면 절대 추천하지 않아요. 듣기는 틀리면 무조건 손해이기 때문에 집중력이 최우선이에요.
2. 모르는 문제 빠르게 판단
수능 영어의 1차 목표는 “아는 문제 다 맞기”예요. 30초 이상 막히면 별표와 함께 과감히 넘기고, 내가 맞힐 수 있는 문제에 확실하게 집중하세요. 나중에 돌아왔을 때 오히려 답이 눈에 띌 수도 있고, 남는 시간을 모르는 문제에 투자하는 게 가장 효율적이에요.
3. 문제 유형별 시간 배분
문제 유형 난이도에 따라 시간을 배분하는 게 좋아요. 비교적 쉬운 앞부분에서 시간을 절약해야 뒷부분 어려운 문제에서 숨통이 트여요.
✅ 목적·심경·주제·요지 문제 👉 문제당 1분 이내
✅ 내용 일치·도표 문제 👉 문제당 1분 30초 이내
✅ 빈칸 추론·순서·삽입·장문 독해 문제 👉 문제당 약 2분
TIP
쉬운 문제는 정확성과 속도가 관건이에요. 중간 난이도 문제는 실수를 줄여야 하고, 어려운 문제는 연습량과 사고력이 점수 차이를 만들어요.
4. 시간이 모자랄 경우, 한 번호로 통일
시간이 다 되어 가는데 못푼 문제가 있다면, 무작위로 흩어 찍기보다는 한 번호로 통일하는 게 더 나을 수 있어요. 분산이 줄어들기 때문에 운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조금 덜할 수 있거든요.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마킹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고요. 미리 마음속으로 "찍을 번호" 하나를 정해두면 마지막 순간에 더 침착해질 수 있습니다.
5. OMR 마킹 시간 확보
문제풀이와 시간 관리만큼 중요한 게 마킹이에요. 실수하지 않도록 10문제 단위로 마킹하거나, 끝나기 전 최소 3~5분은 마킹 시간으로 확보하는 게 안전합니다.
❚ 수능 영어 마무리 노하우
2026학년도 수능이 이제 50여일 정도 남았어요. 지금은 내가 어떤 수준이든 실전 대비와 함께 점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해야 할 때예요.
🥇 1등급 안정권 ~ 2등급 초반
✅ 50일 전: 모의고사로 시간 배분 패턴 확정하기
✅ 30일 전: 고난도 빈칸·장문 독해 등 집중 훈련
✅ 10일 전: 오답 유형 정리하며, 실전 감각 유지
✅ 하루 전: 단어장, 오답노트 가볍게 확인
🥈 2등급 후반 ~ 3등급대
✅ 50일 전: 주제·요지·도표·어법 등 반드시 맞힐 내 유형 확보
✅ 30일 전: 모의고사 풀고, 오답 유형 정리하면서 실수 줄이기
✅ 10일 전: 중간 난이도 문제 집중, 킬러 문제 패스
✅ 하루 전: 듣기, 오답노트 가볍게 복습
🥉 4등급 이하
✅ 50일 전: 듣기·도표·주제 문제 위주로 기본 점수 확보
✅ 30일 전: 기출 풀면서 맞힐 수 있는 문제, 안 되는 문제 구분하기
✅ 10일 전: 듣기 + 쉬운 독해 위주로 집중해서 안정적인 점수 만들기
✅ 하루 전: 자신 있는 문제만 훑고 마음 다잡기
❚ 수능 영어 시간 배분 Q&A
수능 영어 시간 배분 관련해 궁금하실 만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어요.
Q1. 이런 시간 배분 연습은 언제부터 하면 되나요?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50일 전후부터 실전처럼 푸는 연습을 꾸준히 하면 좋아요. 그러면 시험장에서도 익숙하게 해낼 수 있을 거예요.
Q2. 듣기 하다가 놓치면 어떻게 하나요?
바로 다음 문제에 집중하세요. 다음 문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마인드 컨트롤이 중요해요.
Q3. 성격상 모르는 문제를 넘기기가 힘들면, 어떻게 하죠?
일단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고, “이건 조금 있다가 보면 정답이 더 잘 보일 거야!”라고 생각해 보세요. 수능에서는 완벽보다 효율이 훨씬 중요합니다.
Q4. 하위권은 쉬운 문제를 좀 천천히 풀어도 될까요?
그럼요, 쉬운 문제에 시간을 좀 더 투자해 점수를 확실히 확보하는 것도 자기만의 전략이 될 수 있어요.
❚ 맺음말
정말 2026학년도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어요. 수능 영어 시간 배분은 아는 문제에 집중하며, 모르는 문제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는 실전 전략이에요. 즉, 점수를 지키는 안전장치라고 할 수 있죠. 오늘 정리한 수능 영어 시간 배분 전략과 마무리 노하우가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고, 2026학년도 수능 영어에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점수를 얻으시길 바랍니다!